알고리즘

· 알고리즘
DFS를 구현할 때, 스택을 사용하는 방법과 재귀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의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저는 지금까지 항상 재귀함수를 사용해 구현했는데, BOJ에서 DFS문제를 푼 다른 분들의 코드를 보면 스택을 사용해 구현하시기도 하더라구요! 그래서 공부 겸 스택을 사용한 DFS에 대해서도 알아보려 합니다. 본 포스팅은 DFS, 스택, 재귀함수의 개념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으므로 이를 모르신다면 미리 알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! 위의 그래프를 DFS로 탐색해보겠습니다. 이 그래프를 2차원 리스트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 graph = [ [], [2, 3, 8], [1, 7], [1, 4, 5], [3, 5], [3, 4], [7], [2, 6, 8], [1, 7] ] `graph[n]`은 노드 n에 연결..
Alsong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글 목록